[Android] Intent

Android 2010. 3. 25. 20:39
Activating components: intents

Content providers are activated when they're targeted by a request from a ContentResolver. The other three components activities, services, and broadcast receivers are activated by asynchronous messages called intents. An intent is an Intent object that holds the content of the message. For activities and services, it names the action being requested and specifies the URI of the data to act on, among other things. For example, it might convey a request for an activity to present an image to the user or let the user edit some text. For broadcast receivers, the Intent object names the action being announced. For example, it might announce to interested parties that the camera button has been pressed.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는 컨텐트 리졸버content resolver 요청의 대상target이 될 때 활성화된다. 하지만 다른 세 가지 컴포넌트, 즉 액티비티, 서비스,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는 인텐트intent라 불리는 비동기적인 메시지에 의해 활성화된다. 인텐트는 컨텐트 메시지를 보유하고 있는 인텐트Intent 오브젝트다. 인텐트는 액티비티와 서비스에 대해서, 그것에게 요청되는requested 액션을 가리키고 그 액션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URI를 나머지 다른 것들과 함께 명시한다. 예를 들어 인텐트는 어떤 액티비티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보여주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어떤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인텐트 오브젝트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대해서는, 공지되는announced 액션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것은 카메라 버튼이 눌려졌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는 관계자party에게 공지될 수 있다.


[출처] 안드로이드 개발자 가이드



애플리캐이션은 하나 이상의 액티비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여러개의 액티비티, 서비스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애플리캐이션을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인텐트 객체를 이용하여 다른 컴포넌트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인텐트는 어떤 행위를 뜻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인텐트 객체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내의 컴포넌트를 호출하기 위한 여러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이 정보들에는 호출 대상 컴포넌트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호출 대상 컴포넌트의 특성만 나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호출 외에도 호출된 액티비티가 자신을 호출한 액티비티에게 결과값 등을 전달할 때에도 인텐트 객체에 데이터를 담아 전달한다. 이런 경우는 인텐트 객체가 마치 물건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1. 명시적 인텐트 (Explicit Intent)

API
public Intent (Context packageContext, Class<?> cls)

packageContext : 현재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객체
cls : 호출할 컴포넌트의 클래스



 

Intent intent = new Intent(this, TargetActivity.class);


인텐트 객체 생성자의 첫번째 인자는 호출하는 컴포넌트의 컨텍스트 객체를 의미하며, getApplicationContext() 메소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를 넘겨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인텐트를 생성한 후, startActivity() 혹은 startService() 등의 메소드를 호출하여 호출하려는 컴포넌트의 유형에 맞게끔 인텐트를 넘겨주면 해당 컴포넌트를 호출할 수 있다.


// 인텐트 객체 생성
Intent intent = new Intent(this, SubActivity.class);

// 액티비티 실행
startActivity(intent);

//결과값을 받기 위한 액티비티 실행
int REQUEST_CODE = 1; // 결과값을 요구하는 여러 상황을 호출 대상 액티비티에서 알게끔 합니다.

startActivityForResult(intent, REQUEST_CODE); // 액티비티 호출


 


2. 암시적 인텐트 (Implicit Intent)


암시적 인텐트는 호출할 컴포넌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아니라 인텐트 객체 내에 호출 대상 컴포넌트를 찾을 수 있는
정보들만 들어있다. 인텐트 객체 내의 이러한 정보들은 호출 대상 컴포넌트가 action, category(어떤 작업을처리할
수 있는지),  data(어떤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type[mimeType](처리할 데이터가 있는 주소)를
주로 담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처음으로 실행되는 액티비티는 메니페스트 파일의 인텐트 필터에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activity android:name=".LifeCycleTest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MAIN" />
  <cat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LAUNCHER" />
 </intent-filter>
</activity>


인텐트 필터는 자신이 원하는 인텐트를 골라낼 때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해놓은 것으로,암시적 인텐트의 인텐트 해석(Intent Resolving) 과정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사용예)

//인텐트 객체에 type 속성(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받기 위한)을 추가
Intent intent = new Intent();
intent.setType("vnd.android.cursor.item/phone");

Intent i = new Intent();
i.putExtra("HELLO", "Hello Android");

// 인텐트를 받은 다른 컴포넌트가 Extras 데이터를 받아온다.
String str = getIntent().getExtras().getString("HELLO");


Posted by finewoo
,
Spac Php Framework의 공식 사이트가 새단장을 했군요...


PHP를 기반으로 MVC를 적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심있는 개발자라면 꼭 한번 들러보시기를~~^^










1. Spac은 "Simple Php Action Class" 의 약자로 php 웹개발 프레임워크 입니다.
2. php 기본문법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3. php클래스기반으로 개발하며, 해당 클래스가 직접 호출되어 실행됩니다.
4. 액션클래스 실행을 위한 최소한의 코드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속도가 빠릅니다.
5. 유용한 외부클래스들을 쉽게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개인/기업/영리/비영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MVC패턴에의한 개발을 지원합니다.
8. PHP4 이상에서 동작합니다.


'Language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프레임워크] SPAC PHP Framework  (0) 2010.02.20
Posted by finewoo
,




Apache rewrite Module    -작성자 : 윤일-

 

Apache 는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모듈들을 제공합니다.

이번강좌에서는 Apache의 URL Rewrite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컴파일,설치와 httpd.conf의 설정방법 그리고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ache 다운로드 : http://www.apache.org

1. rewrite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Apache 컴파일옵션

Rewrite 모듈을 쓰기위한 Apache 컴파일 옵션은 --enable-rewrite 입니다.

Configure 실행시에  --enable-rewrite 만 추가하시면 Apache에서 rewrite 모듈을 사용할 있게 됩니다.

[root@superuser root]# ./cofigure prefix=/usr/local/apache2 --enable-rewrite

[root@superuser root]# make

[root@superuser root]# make install

 

1. Rewrite 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

Rewrite 설정은 Server Config, Virtual Host, Directory, .htaccess 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Apache 서버 전체에 Global 설정과 특정 가상호스트에만 적용하도록 할수 있고 특정 디렉토리에만 적용시킬수도 있습니다.

 

2. Rewrite 모듈 지시자

RewriteEngine

설정문법 : RewriteEngine On|Off

Rewriteing 엔진을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기본설정은 당연히 Off로 되어 있으며 RewriteEngine On 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Rewritng 엔진을 활성화 시키지 않습니다.

 

현재 Apache에서 실행중인 모든 RewriteRule을 비활성화 시킬 때 RewriteRule 라인을 주석처리 하기보다 RewriteEngin Off 로 설정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올바른방법입니다.

 

RewreteLog

설정문법 : RewriteLog FILE-PATH

RewriteLog 지시자는 Rewrite 엔진의 로그를 그록할 파일을 지정합니다.
RewriteLog 파일을 항상 남기기 보다 잘못된 Rewrite 규칙들을 디버킹할 때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아파치와 마찬가지로 RewriteLog 파일도 방문자수가 많은사이트에서는 감당못할 정도의 로그파일을 남기기 때문에 시스템 여유공간이 많이 없는 시스템에서는 해당 파티션의 하드사용률 100%로 인한 재앙(?)을 불러올수도 있습니다. 다음강좌에서 소개될 로그파일 분석에서 언급하겠지만 로그파일은 유용한 디버깅 도구가 될수 있지만 잘못 관리하면 시스템의 치명적인 악으로 존재할수도 있습니다.

RewriteLog 지시자는 반드시 RewriteLogLevel 지시자와 함께 사용하여야 됩니다.

 

RewriteLogLevel

설정문법 : RewriteLogLevel Level

RewriteLogLevel 지시자는 RewriteLog 지시자로 설정한 로그파일에 기록할 로그들에 대해 얼마나 자세한 내용을 로그로 남길것인가에 대해 설정하는 지시자입니다.

기록할 로그 Level 은 0 ~ 9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0은 로그를 기록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Level 숫자가 높을수록 자세한 로그를 기록합니다

 

RewriteCond

설정문법 : RewriteCond TestStirng CondPattern

RewriteCond 지시자는 RewriteRule 과 함께 사용되는 규칙으로 RewriteCond 다음에 오는 RewriteRule은 RewrieteCond 에서 설정한 패턴과 일치해야지만 RewriteRule들을 실행한다.

 

RewriteRule

설정문법 : RewriteRule Pattern Substitution

Rewrite 모듈의 실질적인 Rewrite 규칙들을 적용하는 지시자입니다.

Pattern(Input URL) 을 Subtitution(Return URL)로 변경하기 위한 모든 규칙들은 이 지시자를 사용해서 설정해야 됩니다.

Pattern(Input URL) 에는 Perl 정규표현식을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Input URL 의 규칙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기초적인 정규표현식 사용방법만 다루고 정규표현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정규표현식에 대한 강좌나 인터넷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규표현식 기초

. : 다수의 한문자

? : 0개 이상의 한문자

* : 0개 이상의 문자 또는 문자열

+ :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문자열

(chars) : (, ) 안의 문자또는 문자열을 그룹으로 묶습니다. 이 문자그룹은 Substitution(return URL)에서 $N 의 변수로 활용할수 있습니니다.

^ : 문자열의 첫문(열)을 지정합니다.

$ : 문자열의 끝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역슬래쉬) : 정규표현식에서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문자의 특수기능을 제거합니다.(예:(, ), [, ] . 등)

{n} : 정확히 n번 반복

{n,} : n번 이상 반복

{n,m} : n 이상 m 이하 반복

[chars] : 문자들의 범위 또는 표현할 수 있는 문자들을 설정합니다. 
예) [a-z] : a 부터 z 까지의 소문자, [tT] : 소문자 t 또는 대문자 T

 

정규표현식 단축표현들

[:alpha:] : 알파벳. [a-zA-Z] 와 같은 표현

[:alnum:] : 알파벳과 숫자. [a-zA-Z0-9] 와 같은 표현

[:digit:] : 숫자 [0-9] 와 같은 표현

[:upper:] : 대문자. [A-Z] 와 같은 표현

 

RewriteRule 플래그

forbidden|F : 요청하는 페이지를 403 에러로 redirect 시킵니다. RedirectRule 이 적용되고 있는 페이지를 일시적으로 사용중단을 시키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접근을 할수 없게 할 때 사용합니다.

) RewriteRule ^/test /home/blog/html/test.php [F]

사용자가 /test 로 접근할 경우 403 에러를 보냅니다.

gone|G : 요청하는 페이지를 410 에러로 redirect 시킵니다. 410 에러는 페이지가 사라젔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시지입니다. 이것도 forbidden 과 마찬가지로 RedirectRule 이 적용되던 페이지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st|L : 이 플래그가 적용되면 뒤에 어떤 룰이 있더라도 이룰 아래의 규칙들은 적용되지 않고 RewriteRule 을 빠져나가게 됩니다. C, Perl, PHP 프로그램에서 루프를 빠져나가는 break 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chain|C : 이 플래그의 결과를 다음 RewriteRule 의 input 값으로 사용합니다.
예)

RewriteRule ^(.+) %{HTTP_HOST}$1 [C]

RewriteRule ^([^.]+)\.domain\.com(.*) /home/$1/public_html$2

이 룰은 사용자 홈의 도메인을 2차 도메인으로 자동설정해 줄 때 많이 쓰는 룰입니다. RewriteRule의 input은 도메인을 제외한 URI 를 인식하기 때문에 도메인까지 인식을 시켜서 다음 RewriteRule 로 체크를 하기 위해 사용한 것입니다.

 http://user_id.domain.com/hello.html 이란 요청이 들어오면  /home/user_id/public_html/hello.html 로 redirect 시켜줍니다. 위와 같이 2차 도메인을 이용해 계정 사용자의 홈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DNS 세팅이 선행되어야 됩니다.

 

RwriteRule 설정예

 

1. http://yourdomain.com/user_id  ->  http://yourdomain.com/home.php?id=user_id

 

RewriteRule ^/([a-zA-Z0-9])$   /home/user_id/public_html/home.php?id=$1

설명 : 도메인(http://yourdomain.com) 뒤에 오는 영문숫자로된 문자열을 지정하면서 그룹으로 묶었습니다. 이렇게 그룹으로 설정된 문자열 Pattern 은 Substitution(return URL) 에서 $1 이라는 변수로 받아 사용하게 됩니다. 즉 http://yourdomain.com/superuser 라는 페이지 요청이 들어오면 실제로는 http://yourdomain.com/home.php?id=superuser 라는 페이지로 redirect 시켜줍니다. 블로그나 카페(동호회) 사이트에서 블로그 사용자의 ID 로 개인 블로그 주소를 부여할 때 http://blog.com/user_id 로 부여해 주지만 실제 실행되는 파일은 이와 같이 redirect 시켜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2. http://yourdomain.com/daum  -> http://www.daum.net

RewriteRule ^/daum$  -> http://www.daum.net

설명 : http://yourdomain.com/daum 라는 페이지 요청이 들어오면 도메인이 다른 http://www.daum.net 이라는 페이지로 redirect 시켜줍니다.

 

 

RewriteOptions

설정문법 : RewriteOptions Options

현재 사용할 수 있는 option 은 MaxRedirects=number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number값에 도달하게 되면 500 Internal Server Error 를 남기고 RewriteRule을 종료합니다. 잘못된 RewriteRule에 의한 무한 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시스템이 이유없이 다운된다거나 할 때 이 옵션과 Log 기록을 참고하여 디버깅 및 시스템 다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지사자는 Apache 2.0.45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적용예

가상호스트 www.superuser.co.kr 에 대해 Rewrite Rule을 적용한 예입니다. 이 부분은 실제 운영되는 블로그 사이트를 위해 RewriteRule 을 적용한 예입니다.

<VirtualHost 211.206.201.xxx>

DocumentRoot /home/blog/html

ServerName blog.xxx.ac.kr

#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가상호스트 설정입니다.

RewriteEngine on

# RewriteRule을 사용하기 위해 On 으로 설정합니다.

 

RewriteLog /home/blog/rewrite_log_admin3.log

RewriteLogLevel 9

# Rewrite 실행중 Log를 남기기 위해 로그파일과 로그레벨을 지정했습니다.

 

RewriteRule ^/tb/([a-zA-Z0-9]+)/([0-9]+)$ /home/blog/html/blog/trackback\.php\?id=$1&post_no=$2

# 위설정은 블로그에 등록된 포스트의 트랙백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설정한 RewriteRule 로써 Pattern에 두개의 그룹이 존재하고 return URL에 순서대로 각 그룹을 $1 과 $2 로 받아 GET 변수로 치환한것입니다.

 

RewriteRule ^/xml/([a-zA-Z0-9]+)$ /home/blog/html/blog/rss_feed\.php\?id=$1

# 각블로그별 RSS 주소를 실제 파일로 지정한것입니다.

 

RewriteCond %{REQUEST_URI}     !^/admin$

RewriteRule ^/([a-zA-Z0-9]+)$ /home/blog/html/blog/main\.php?id=$1

# 먼저 RewriteCond 로 실제 존재하는 admin 이라는 디렉토리를 이어지는 RewriteRule에서 제외시키고 http://domain.com/user_id 로의 요청을 모두 /home/blog/html/blog/main.php?id=user_id로 redirect 시키는 룰입니다.

 

RewriteRule ^/([a-zA-Z0-9]+)/([0-9]+)$ /home/blog/html/blog/main\.php\?id=$1&post_no=$2

# /user_id/1345 로 요청하는 페이지를 /home/blog/html/blog/main.php?id=user_id&post_no=1345 로 redirect 시키는 룰입니다.

 

</VirtualHost>

 

4. 마치면서

위에서 언급한 RewriteRule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상황에서 RewriteRule을 잘 활용한다면 아주 유용하게 웹페이지를 컨트롤 할수 있습니다. RewriteRule 을 세팅하기 이전에 반드시 정규표헌식에 대해 어느정도 공부한후 적용해 보실 것을 권합니다.




Posted by finewoo
,